문화칼럼

  • Home
  • 인도네시아 알기
  • 문화칼럼
제목 인도네시아 관련 읽을거리들
작성자 인도네사아문화원
작성일 16-03-24 20:52

     인도네시아를 전공하든 아니면 인도네시아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읽어야 할 기본(?) 서지가 몇 권 있다.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자료를 읽을 수 있다면 이 지역에 대한 지평을 넓히는데 다소 도움이 될 것이다.

     우선, 말레이어가 이 지역의 교통어(lingua-franca) 역할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채택되는 과정을 상술한 논문으로 John Hoffman"A Foreign Investment: Indies Malay to 1901"이 있다. 1979년 코넬에서 발간하는 저널 <Indonesia>에 실린 논문으로(No.27), 네덜란드 식민통치 정부의 언어정책, 말레이어와 자바어의 비교, 말레이어의 발전과정 등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변별성을 파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인도네시아'라는 용어가 언제부터 어떻게 사용되었는가에 대하여 궁금하다면 Akira Nagazumi(1929-1987)"Indonesia dan Orang-Orang Indonesia: Semantik dalam Politik"이라는 논문을 읽어야 한다. 일본의 인도네시아학 대부이며 <The Dawn of Indonesian Nationalism: The Early Years of the BUdi Utomo, 1908-1918>의 저자인 필자가 1973<Asia Profile I>에 게재한 이 논문은 서구의 학자들이 'Indonesia'라는 용어를 사용한 내력을 열거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Akira Nagazumi는 네덜란드의 유학생 단체 등이 'Indonesia'에 근접하는 용어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4년 말 인도네시아공산당(Partai Komunis Indonesia) 이 용어를 정당의 이름에 사용했다고 주장하였다.

     인도네시아(특히 자바)의 사회계층에 대한 연구는 단연 클리포드 기어츠(C. Geertz)The Religion of Java를 꼽을 수 있다. Mojokuto라는 지역을 모델로(사실은 가상의 지역, 아니 실존 지역의 가명이라고 해야 맞다) 자바 사회의 계층을 분류, 분석을 시도한 역저이다. 산뜨리(santri)와 아방안(abangan), 쁘리야이(priyayi), 소시민(wong cilik)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특히 쁘리야이 계층의 삶과 그들이 존중하는 가치 등을 소상하게 설명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어로는 Abangan, Santri, Priyayi dalam Masyarakat Jawa(Jakarta: Pustaka Jaya, 1989)로 번역 출간되었다.

     인도네시아의 문화에 대한 또 다른 주요 서지는 역시 꾼짜라닝랏(Koentjaraningrat)Javanese Culture(Oxford University Press, 1985)를 빼놓을 수 없다. 1984년에 발간된 인도네시아어판 Kebudayaan Jawa를 영역한 것으로 자바의 약사, 자바 농민문화, 도시문화, 자바인의 신앙, 중요시하는 가치 등을 소상하게 설명하고 있다.

     프랑스의 인도네시아학자 Deny LombardNusa Jawa: Silang Budaya(Jakarta: Pustaka Utama, 1996)도 빼놓을 수 없는 서지이다. 1990년에 펴낸 불어판 원서 Le Carrefour Javanais3권으로 엮어 번역한 이 지료는 자바의 문화와 관련된 모든 것을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쁘라야이, 이슬람,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자바인의 조화 등에 대한 저자의 연구조사 결과를 담고 있는 역저이다.

     인도네시아를 연구하는 학자 중 벤 앤더슨(Benedict R. Anderson) 교수를 빼놓을 수 없다. 코넬대학의 교수인 앤더슨은 정치문화학자로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 동남아에 관한 주요한 저술을 내놓았다. 우선 민족주의에 대하여 기존의 학자와는 다른 시각으로 정의하고 설명한 Imagined Communities(Verso, 1983)을 권하고 싶다. 앤더슨의 관심은 근대사회에서 민족이 가장 의미있는 공동체의 모형으로 구성되는 사회문화적 과정에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연구하는데 모든 실재가 문화적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실재를 재현해주고 재현된 실재를 경험하는 유형은 역사적으로 상이하다는 인류학적인 관점을 기본으로 깔고 있다. 또 한가지 이러한 상상의 공도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동일 언어 사용이며 그 중에서도 같은 언어로 된 소설과 신문을 꼽았다. 앤더슨은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면서 자바 사회를 모델로 제시하였다. 국내에는 윤 형숙 선생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나남, 1991)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소개하였다.

      ​앤더슨은 이밖에도 <Language and Power: Exploring Political Cultures in Indonesia>를 통하여 언어와 권력과의 관계를 파헤쳤다(인도네시아에는 Kuasa-Kata: Jelajah Budaya-Budaya Politik di Indonesia(Matabangsa, 2000)로 번역되었음). 예를 들어 수하르토의 적은 그의 정적이 아니라 그의 안에 웅크리고 있는 'pamrih(개인적 이익)'라고 하여 수하르토의 몰락을 예고(?)하였다. 앤더슨은 인도네시아어에 능통하고 저명한 작가 쁘라무디아 등과도 교분을 유지하고 쁘라무디아 작품에 대한 평을 쓰기도 하였다. 앤더슨은 Max Lane이 번역한 쁘라무디아의 <인간의대지> 영역판을 꼼꼼이 점검하고 오역된 부분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문학텍스트가 문학연구가들 뿐만아니라 인접학문에 종사하는 연구가들에게도 주요한 자료로 쓰이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앤더슨 교수는 작년 1215일 동부 자바의 꼬따 바뚜에서 80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바로가기